정치가는 도덕적이어야 한다. 정치가가 도덕적이어야 하는 이유는 정치가 한 사회의 도덕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사실 정치는 도덕적이어야 하고 한편으론 도덕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해야하는 두 측면을 지닌다. 도덕은 정치와 같은 권력적 측면도 없고 법률과 같은 외적이고 강제적 측면 또한 없다. 하지만 사회구성원 전체의 행위를 규제하는 것이 도덕이다.

또한 도덕은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승인된 규범의 총체이기에 국가사회의 통합과 정치를 맡는 관리자이며 필요하면 이 일을 돕는 법률도 입법할 수 있다. 사회의 질서는 강제 규정인 법률에만 유지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정치란 국가사회의 유지와 개선에 목적이 있으므로 그 사회의 질서를 유지시키는 도덕과 직결된다. 공자의 사상만 하더라도 도덕에 관한 사상과 정치의 도(道)에 관한 사상으로 양분되지만 이 둘은 합하여 도덕정치가 되는 것이다. 공자의 도덕사상은 주로 사대부 신분에 있는 사람의 행위를 규정한 것으로 가족관계와 군신관계를 논하고 있다. 사대부 신분이라는 것은 당시의 치자(治者)를 말하는 것 아닌가? 또한 군신관계는 ‘충’의 원리로서 정치사회의 관계규정이다. 공자의 정치도에 관한 사상은 덕치주의로서 백성이 왕에게 복종하는 여부는 왕 자신이 도덕적으로 늘 바르게 행하는 것에 달려있다는 사상이다. 다시 말해 덕으로 백성을 대하면 되는 것이다.

지금 우리 총회 안에 뜨거운 감자가 되어 설왕설래를 하는 정치부 상설화와 선관위 재판국 직선제 논란은 바로 도덕성 결여로 인한 불신 때문 아닌가? 그동안 다수의 총대들은 총회정치를 보면서 교단유지와 개선에 앞장서줄 것을 줄곧 요청해왔다. 이러한 교단유지와 개선의 힘이 도덕성이기에 여기에 대한 관심이 정치부 상설화라는 것인데 이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이 도덕성의 회복이다. 도덕성 회복 없이는 정치부 상설화는 또 다른 옥상옥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사실 정치부 상설화는 좀 더 나은 총회를 만들어보자는 총대들의 염원인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 없는 기구개편을 해왔지만 사실 그 밥에 그 나물이었던 것이 지나온 우리의 모습이었다. 총회 결의는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더 시급한 것은 정치권의 도덕성 회복이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구호와 이벤트로 지나서는 안된다. 정치권의 도덕성은 우리 총회의 얼굴임을 기억하여 총대들의 신뢰회복에 앞장서길 바란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