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죽여 지켜봤던 총신대 재단이사 선정은 개방이사 4명만 선출하고 끝이 났다. 일반이사는 결국 뽑지도 못했다. 총신대 재단이사회는 2월 3일 총신대 사당캠퍼스에서 관선이사 파송을 눈 앞에 두고 극적으로 회의를 열었다.

이날 긴급처리권을 가진 재단이사들은 최소한 개방이사를 포함하여 의결정족수에 해당하는 8명의 이사를 선출해야 교육부 관선이사 파송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개방이사 4명만 선출하여 향후 관선이사 파송이 어떻게 될지 알 수가 없게 되었다. 이제 모든 것은 교육부 판단에 달려있을 뿐이다.

항간에서는 지난 2015년 일반이사 4명을 뽑아 놨기 때문에 이번에 선출된 개방이사 4명과 함께 교육부에 8명의 이사명단을 제출하면 후임이사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을 펴고 있다. 솔직히 이러한 주장은 하나의 의견일 뿐이다. 교육부 청문회에서 어떤 판단을 할지 아무도 모른다. 더군다나 일반이사 11명에 대해 반대의사를 밝힌 긴급처리권을 가진 이사들에 대한 교단 안팎의 여론도 어떻게 작용할 지 알 수가 없다. 총신대 재단이사와 관련된 사안은 이제 교육부의 ‘처분’만 기다리고 있어야 한다.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총신대 재단이사 선출은 수년간 교단의 최대 이슈였다. 지난 회기에 총회는 재단이사회에 참석해서는 안된다는 공문을 보내고 이와 관련된 이사들을 공직정지, 심지어 제명출교까지 단행키도 했다. 그리고 교육부 관선이사 파송이 임박하자 긴급처리권자들에게 회의에 참석하여 후임이사를 선출해 줄 것을 요청키도 했다.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이날 회의 개회 성수 여부를 놓고도 이전부터 말들이 많았다. 총회장을 중심으로 하는 총회 측 추천인사와 재단이사장대행 중심의 긴급처리권을 가진 이사들은 후임 이사 후보 추천을 놓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는 후문들이 끊이지 않았다. 그래도 총회 구성원들은 2월 3일 회의를 앞두고 양측에서 합의를 이뤄 재단이사 선임이 원만하게 진행되기를 바랐다. 관선이사 파송을 앞두고 최악의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기류가 교단 내에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허망하게 끝났다.

총신대와 관련된 매듭을 어떻게 풀어야 할지 전혀 알 수가 없다. 교육부의 판단에 총신대가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 못내 서럽지만 이제라도 ‘욕심’을 내려놓고 하나님께 간구하는 지혜자가 되기를 총회 관계자들에게 촉구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