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았다. 이제 한국교회가 사용하는 모든 수식어에는 ‘종교개혁 500주년’이 빠지지 않는다. 다들 종교개혁 정신을 이어받자고 강조한다.

다 맞는 말이다. 종교개혁의 핵심이 무엇이며, 한국교회가 무엇이 개혁되어야 하는지도 정확하게 짚어낸다. 그러나 문제는 실천과 행동이다.

지금의 교회의 문제는 종교개혁의 역사를, 종교개혁의 내용을 몰라서가 아니라 종교개혁가들처럼 살아내지 못한 삶의 문제가 아니던가.

종교개혁은 진리의 말씀을 왜곡시킨 가르침에 대한 저항이었다. 불의한 관행도 당연한 질서라 여겼던 것에 대한 항거였다. 타락한 교회와 종교지도자에 대한 일침이었다. 그 저항과 항거, 일침은 목숨을 담보해야 했다.

실제 진리가 아닌 것에 목숨까지 바친 프로테스탄트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우리 교단이 추구하는 개혁주의가 나올 수 있었던 것 아닌가.

그런데 교단의 현실은 어떤가. 인구감소와 탈종교화 시대에 교단의 풀뿌리인 개교회들은 신음하고 있지만, 교단은 교권과 헤게모니가 더욱 공고해지고 있다. 세계적인 규모의 장로교단이지만, 거시적인 안목은 간데없고 비성경적, 비상식적, 비제도적인 행위들이 난무하고, 산하 교회와 세상엔 전혀 영향력을 끼치지 못하고 있다.

별다른 설명과 각주 없이도 현재 교단의 역기능적인 요소들이 무엇인지 웬만해서는 인지하고 있다. 이단의 폭거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나, 교단의 난맥상은 터부시하고 개인 정치만 판을 치는 등등의 모습에서 보듯 한국교회 맏형에서 찾을 책임감과 바른 정치가 실종됐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실 앞에 교단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어떻게 기념해야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기는 기념예배는 당연히 드려야 마땅하다. 그러나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크고 세련된 행사에만 그쳐서는 곤란하다. 종교개혁 정신에 입각해 오늘에 개혁되어야할 잘못된 곳을 과감하게 도려내는 저항으로 기념하는 것이 본질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저항정신이 사라져가는 현실, 그래서 유감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