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투표 도입, 늦춰선 안된다”

▲ 제101회 총회에서 투표하는 총대들

 ‘효율적 총회 운영위한 기반’ 필요성 커져
 합리적 예산편성, ‘공정성 담보’가 과제로

지난 5회에 걸쳐 기구 통합 및 신설과 정치 개편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총회가 효율적이고 신뢰받는 총회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기구 개편과 정치 개편에 더해 풀어야 할 숙제가 하나 더 있다. 다름 아닌 총회 운영의 기반이 되는 행정의 변화도 수반되어야 한다.

101회 총회는 총회정책연구위원회의 보고를 그대로 받아, 총회 회의결의 방식과 예산편성의 변화를 예고했다. 원활한 회무 진행을 위한 전자투표 실시와 총회 재정 누수를 막기 위한 합리적인 예산편성이 새로운 100년을 여는 총회에 과제로 주어졌다.

전자투표, 신뢰총회 출발점
총회 임원선거와 회무결의 방식에 전자투표 도입은 매년 총회 때마다 언급돼 왔다. 특히 지난 101회 총회에서 전자투표의 필요성이 보다 절실하게 다가왔다. 시계를 돌려, 지난 9월 29일 총회 넷째 날 저녁 회무로 가보자.

당시 총회는 전병욱 목사 재판 상소 여부를 두고 찬반이 팽팽히 맞서다, 투표에 돌입했다. 그런데 거수투표에서도 찬반이 비등하게 나와 일대 혼란이 야기됐다. 흠석사찰들도 집계를 정확하게 내지 못한 탓에 총대들은 손은 올리고 내리고를 반복해야 했고, 사회자도 발표를 유보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세 차례 거수투표 끝에 상소 기각은 260표 재판국 이관은 251표로 집계돼, 전병욱 목사 재판 상소가 기각됐다. 단 9표 차이였다. 이렇다보니, 뒷말이 무성했다. 일부 총대들은 거수투표 집계가 정확하지 못했다고 지적했고, 일각에서는 투표결과를 바꿔치기 해서 사회자에게 전달했다는 풍문까지 돌았다. 회무 진행에 있어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101회 총회의 옥에 티였다.

만약 전자투표를 실시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투표 결과는 불과 1분도 되지 않아 발표됐을 것이다. 어수선한 총회 현장의 분위기도, 투표 결과에 대한 의혹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총회에서 전자투표를 도입한다면 임원선거와 회무결의 모두를 전자투표로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총회정책연구위원회 서기 김기철 목사는 “1600명이나 되는 총대가 모이고, 매번 회무시간이 부족한 현재 총회 상태를 본다면 임원선거는 물론 회무결의도 전자투표로 실시하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무엇보다 총회의 신뢰 회복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라도 전자투표 도입을 더 이상 늦추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자투표 대행업체 새한ANG에 따르면 총대 1600명에 4박 5일 기준으로 비용은 약 1000만원 가량 든다고 한다. 임원선거와 회무결의를 포함한 금액이다. 적은 비용은 아니지만, 효율적인 총회 운영을 위해서는 충분히 치를 수 있는 대가다.

이제 공은 총회 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에 넘어갔다. 총회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가 결단을 내려, 내년 102회 총회에서는 총대들 손에 전자투표 단말기가 전달되길 기대한다.

예산 편성,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총회 예산 편성에 대표적인 문제점은 인맥이나 개인의 호불호에 따라 예산이 편성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예산심의위원회나 재정부원 중에 회계 전문가가 부재하고, 각 상비부나 특별위원회의 사업에 대한 평가 없이 관례에 따라 예산이 편성되는 것도 문제다.

이러한 예산 편성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회기 총회기구혁신위원회는 총회 예산 편성 절차 개선안을 내놨다. 개선안의 핵심은 두 가지다. 첫째, 총회 예산을 총회정책에 맞게, 그리고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둘째는 재정부 심의에 앞서 총회 2개월 전까지 총회예산기획 연석회의에서 사전에 예산편성을 한다는 것이다. 총회기구혁신위원회는 이를 통해 총회 예산 집행에 있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총회 예산이 계획성 있고, 공정하게, 그리고 교단 발전을 위한 정책 실행을 위해 사용돼야 한다는 입장에 대해서는 총대들 사이에서 이견이 없다. 그러나 총회기구혁신위원회의 개선안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첫째, 정책 우선순위가 공정하게 정해질 수 있느냐이다. 총회기구혁신위원회는 총회예산기획 연석회의에 참석하는 부서로 총회임원회, 총회정책연구위원회, 통일준비위원회, 세계교류협력위원회, 교회자립지원실행위원회, 역사위원회, 재정부 등을 정했다. 나름 고민 끝에 부서를 정했겠지만, 자연스레 연석회의에 참여하는 부서 위주로 재정이 짜여 질 것이라는 지적이 예상된다.

한정된 총회예산과 정치적 논란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당장 정책을 고려해 예산을 편성하면 예년에 비해 예산이 줄어드는 상비부나 특별위원회가 나오게 마련인데, 이들 상비부 등이 예산 편성에 동의할 지가 의문이다. 당장 총회 보고 과정에서 반발이 예상된다.

따라서 총회기구혁신위원회의 예산 편성 절차 개선안이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우선 상비부 통폐합이 필요하다. 총회 발전을 고려한 과감한 결단과 함께 연석회의 참석자들의 공평하고 정확한 판단도 요청된다. 이를 위해 연석회의에 권한과 더불어 책임을 부여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더불어 예산 확대도 요청된다. 현재 연간 상비부 운용비는 35억원 가량으로, 세례교인헌금 확대 등을 통해 운용예산을 더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총회는 새로운 100년을 열면서 정책총회로 거듭날 것을 천명했다. 전자투표 도입과 예산 편성 개선은 불필요하게 허비되는 시간을 줄이고 정책을 논의할 수 있는 총회, 또한 총의를 정확히 드러내는 총회로 가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NS 기사보내기